중국 AI 산업 분석


제작:  김햇빛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지도:  박정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
  ​현재 세계는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친 거대한 문명사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짧은 시간에 여러 분야에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어 낸 중국은, 
정부 주도로 자국 기업을 활용한 산업별 플랫폼 구축하고, 
막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AI산업에서도 역시 경쟁력을 확보했다.  


   이 글의 도입부에서는 인공지능의 기본적인 정보를 다룬다. 
다음으로는 중국 AI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중국 AI 산업 분야의 현황을 알아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국 AI 산업의 전망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I.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

人工智能; AI(artificial intelligence); 


정의 및 목적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 능력, 추론 능력, 지각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시키는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이다. 상황을 인지하고 이성적·논리적으로 판단·행동하며, 감성적·창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단순한 신기술이 아닌 산업·사회 구조의 광범위한 변화를 불러오는 혁신 기술로 국민 삶의 질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동력이다.
    연구 목적은 스마트 기기들이 들을 수 있고(음성 인식, 기계 번역), 볼 수 있고(이미지 및 문자 인식), 말할 수 있고(음성 합성, 인간과 기계의 대화), 사고할 수 있고(인간과의 대결, 정리 증명), 학습할 수 있으며(지식 습득 및 표현), 행동할 수 있도록(로봇, 자율 주행 자동차) 하는 것이다.




photo-1654009603731-20b6d7536002.jpg
인공지능의 발전 과정


· 초창기

1956년~20세기 60년대 초. 인공지능 개념이 제기된 후, 잇달아 기계 정리 증명, 바둑 프로그램 등의 연구 성과를 얻었다.

· 반성기

20세기 60년대~70년대 초. 인공지능의 초기 돌파적인 발전은 인공지능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를 높였으며, 도전적인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 응용기

20세기 70년대 초~80년대 중반. 전문가 시스템은 인간 프로젝트의 지식과 실험을 통해 특정 분야의 문제를 해결한다. 전문가들이 의료, 화학, 지질 등의 분야에서 체계적으로 성공을 거두면서 인공지능은 새로운 고조에 들어섰다.

· 냉각기

20세기 80년대 중반~90년대 중반. 전문가 시스템은 좁은 응용 영역, 지식 접근의 어려움, 단일 추론 방법, 분산 기능의 결여, 기존 데이터베이스와의 호환성의 어려움 등의 문제에 직면했다.

· 안정기

20세기 90년대 중반~2010년. IBU 딥블루는 1997년에 체스 세계 챔피언인 스파로프를 이겼고, ibm은 2008년에'스마트 어스 (smart earth)'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 왕성기

2011년부터 현재까지. 영상 분류, 음성 인식, 지식 문답, 사람과 컴퓨터의 자동 주행, 무인 운전 등 인공지능 기술은 기술적 돌파를 실현해 폭발적인 성장의 새로운 고조를 맞이했다.



인공지능의 분류

중국의 인공지능은 응용 분야에 따라 의사결정 인공지능, 시각 인공지능, 음성 및 의미 인공지능, 인공지능 로봇으로 나뉜다.
free-icon-brain-4710333.png
의사결정 인공지능

데이터 속 숨은 규율을 식별하고, 데이터 인사이트에 기반한 의사결정 과정을 안내하며, 핵심 업무 운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를 해결한다.

응용 분야) 스마트 마케팅, 리스크 관리 및 공급망 관리 최적화 등
free-icon-vision-4710347.png
시각 인공지능

시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식별, 추적, 측정하고 이를 통찰과 판단으로 변환한다.


응용 분야) 스마트 출입 통제, 공공 안전 모니터링, 광학 문자 인식
free-icon-chatbot-4710442.png
음성 및 의미 인공지능

음성, 텍스트와 같은 언어 정보를 실제로 주고 받을 때, 일부 반복적인 의사소통 시나리오에서 인력을 절약하도록 설계된다.

응용 분야) 스마트 고객 서비스, 대화형 음성 응답
free-icon-robot-4710306.png
인공지능 로봇

인간을 대신하여 반복성이 높거나 위험한 어떤 임무를 수행한다.


응용 분야) 산업용 드론, 수술 로봇

II. 중국 AI 산업 발전의 원동력




산업 호재 정책
중국의 인공지능 업종은 정부의 깊은 중시와 국가산업정책의 중점적인 지지를 받고 있어,
중국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인공지능 업종의 발전과 혁신을 장려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잇달아 내놓았다.
다음과 같이 중국의 인공지능 산업 발전을 위한 장기적 보장을 제공하였다.

2021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민 경제와 사회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2035년 전망 목표 요강」
인공지능, 뇌과학, 우주과학기술 등 첨단 분야를 목표로 미래지향적이고 전략적인 국가 주요 과학기술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인공지능 핵심 분야에 집중하고, 기본 알고리즘 및 장비 재료의 연구 개발 혁신을 가속화한다.

2021년 7월
「신형 데이터 센터 발전 3개년 실행 계획 (2021-2023년)」
산업 체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선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높인다.
새로운 데이터 센터의 전력 공급 및 분배, IT 및 네트워크 장비, 지능형 시스템 등에 중점을 둔다.

2021년 11월
「'14차 5개년'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 산업 발전 계획」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라이브러리, 도구 모음 등의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새로운 기계 학습, 자연어의 이해, 인간-기계 상호 작용, 지능형 제어 및 의사 결정과 같은 서비스의 개발을 가속화한다.
인공지능 오픈 플랫폼 구축을 촉진한다.

2021년 12월
「'14차 5개년' 스마트 제조 발전 계획」
설계, 생산, 관리, 서비스 등 제조 전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 시뮬레이션, 하이브리드 모델링, 협업 최적화 등 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여 선진 공정 기술을 개발한다. 
인공지능·5G·빅데이터 등 산업 분야 적용성 기술을 개발한다.

2022년 1월
「'14차 5개년' 디지털 경제 발전 계획」
계산, 데이터 및 기타 자원이 조정된 국가 통합 빅데이터 센터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한다. 
네트워크 및 디지털 클라우드 협업의 다층적 체계 구축을 가속화하여 산술적 수준의 지속적이고 현저한 향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2022년 7월
「시나리오 혁신의 가속화, 높은 수준의 AI응용으로 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는 것에 관한 지도 의견」
시나리오 혁신은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와 산업 성장의 새로운 경로가 되었으며, 
시나리오 혁신의 성과는 차세대 인공지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제조, 농업, 금융 등 핵심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심층적으로 발굴하도록 장려하고, 스마트 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한다.

2022년 8월
「차세대 인공지능 시범 적용 시나리오 구축 지원에 관한 통지」
인공지능이 경제 사회 발전을 위한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좋은 인공지능 응용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연구 개발의 상하류 배합과 신기술을 강화하여 복제와 보급, 그리고 벤치마킹 가능한 시범 응용 시나리오를 형성한다.

2023년 2월
「디지털 중국 건설의 전체 배치 계획」
컴퓨팅 인프라 배치를 최적화하여 동시 컴퓨팅의 효율적인 보완과 시너지 연동을 촉진하고,
범용 데이터 센터, 슈퍼 컴퓨팅 센터, 스마트 컴퓨팅 센터 등의 합리적인 계단식 배치를 유도한다.

2023년 4월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관리 방법」
생성형 인공지능 '제공자' 콘텐츠 생산, 데이터 보호, 프라이버시 보안 등에 대한
법적 책임 및 법적 근거를 최초로 명확히하고, 인공지능 제춤의 보안 평가 규정 및 관리 방법을 확립했다.





이렇듯, 중국의 AI 시장이 이와 같이 급속 성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중국 정부가 일찍이 AI 산업을 전략 분야로 지정하고 적극적으로 지원 정책을 펼쳐온 것이 크게 작용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들을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준 주역은 
소비자와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들이다.
photo-1664033247283-93c8582c5090.jpg
AI 발전에 우호적인 소비자의 인식

   2017년 칭화대에서 중국 소비자 3천여 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70%의 응답자가 중국의 AI 산업 발전을 ‘적극 지지한다’ 또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중국의 AI시장 확대와 정책 발전에 대해 소비자들이 대체로 긍정적 또는 중립적인 인식을 지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중국의 시장 조사기관인 아이리서치(iResearch)에 따르면, 관련 수요와 활용도는 교통, 안전(보안), 의료, 금융 등 분야에서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AI 교통신호등이나 순찰로봇, AI 의료체험, 안면인식 ATM 출금 등 서비스의 성장 잠재력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국의 소비자는 AI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접목하는 데에 거부감이 적어 기업들의 관련 시장 테스트와 서비스 확대에 녹색 신호로 작용했다.



photo-1477238134895-98438ad85c30.jpg


AI 인재 육성


   중국은 AI분야 인재육성과 플랫폼 구축 등 중장기적인 인프라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AI분야 글로벌 인재 수에 있어 중국이 1만 8,232명으로 미국(2만 8,536명) 다음으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칭화대 중국 과학 기술 정책 연구센터, 2018년 7월 기준). 나아가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지방정부 또한 상응하는 행동 계획 또는 지도 의견을 발표하고 AI 산업의 발전을 위한 환경조성과 자금지원 및 인재공급에 주력하고 있다.                                    
    


디지털 홍위병


   중국은 국가정책에 기반하여 초중고 교육과정에 AI교육을 포함시켰다. AI교육이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던 시기에 교육부와 주요 국책연구소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에 AI교육을 필수적으로 실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로 한 자녀만을 키우고 있는 중국 학부모들의 역시 미래사회에 꼭 필요하다는 AI교육에 관심이 있는 것이 당연하며, 이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쳐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졌다.
   중국의 경우 미국에 이어 두 번째 규모로 AI교육을 실시하고 인재를 양성하고 있으며, 가장 신속하게 학교 현장에 도입시켰다. 이는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중국 AI 산업 발전에 큰 영향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III. 중국 AI 산업의 현황




시장 규모 분석
001.jpg
전 세계 인공지능 시장 규모

   최근 몇 년간 세계 각국 정부와 대형 인터넷 기업들은 인공지능의 건전한 발전을 실현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이미 수직적인 빅데이터 플랫폼, 오픈소스 알고리즘, 이미지 처리 등 핵심 기술 네트워크와 수평적인 스마트 교통·의료·보안·홈 등 비즈니스 솔루션을 포함한 완전한 생태를 형성하였다.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2~2027년 중국 인공지능 업종 수요 예측 및 발전 추세 전망 보고서'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세계 인공지능 시장 규모는 동기대비 26.7% 성장한 2조 3901억 위안에 달했다. 중상산업연구원의 애널리스트는 2024년 전 세계 인공지능 산업 시장 규모는 약 3조 5,137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002.jpg
중국 인공지능 시장 규모

   인공지능은 널리 응용되는 기술로서 기계의 도움으로 인간을 재구성하여 정보를 통합하고 데이터를 분석한다. 또한, 인간을 도와 효율을 제고하고, 의사결정과 판단을 최적화함으로써 이미 과학 기술 혁신의 핵심 영역과 디지털 경제 시대의 중요한 기둥이 되었다.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2~2027년 중국 인공지능 업종 수요 예측 및 발전 추세 전망 보고서'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인공지능 업종 시장 규모는 2845억 위안에 달했고, 2017~2022년 기간 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55%였다. 중상산업연구원의 애널리스트는 2024년 중국의 인공지능 시장규모가 401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003.jpg


시장 점유율 분석


중국의 인공지능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응용 분야에 따라 
의사결정 인공지능, 시각 인공지능, 
음성 및 의미 인공지능, 인공지능 로봇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 시각 인공지능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43.3%로 가장 높고,
의사결정 인공지능 (23.7%), 음성 및 의미 인공지능 (18.1%), 
인공지능 로봇 (14.8%) 의 순이었다.



기업 중점 분석
   2023년 인공지능 100대 기업 순위표에서 바이두 (百度), 알리바바 (阿里巴巴), 화웨이 (华为), 바이트댄스 (字节跳动), 텐센트 (腾讯), 샤오미 (小米), 신비정보 (科大讯飞), 360 (三六零), 징둥 (京东), 이두커지 (医渡科技)가 각각 중국 인공지능 업계 10위 안에 들었다. 이 중에서 상위 5개의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소득을 분석하고자 한다.
004.jpg
1. 바이두 (百度)
   바이두는 강력한 인터넷 기반을 가진 선두 AI 회사이다. AI 칩과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등 풀 솔루션 AI 기술을 제공하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회사 중 하나로, 국제기구에서 세계 4대 AI 회사 중 하나로 평가 받기도 한다. 
   바이두는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음성, 이미지, 지식 지도, 자연어 처리 등 인공지능 기술을 진화시켰다.
   최근 10년간 바이두는 딥러닝, 대화형 인공지능 운영체제, 자동운전 등 최첨단 분야에 투자하면서 강력한 인터넷 기반을 갖춘 선두 AI기업으로 성장했다. 
   2022년 바이두의 핵심연구개발비용​은 214억 1,600만원에 달하여 바이두 핵심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2.4%에 달했다. 2023년 상반기에 바이두는 652억 위안의 영업 소득을 실현했다.
005.jpg
2. 알리바바 (阿里巴巴)
   알리바바는 1999년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됐다. 2023년 알리바바의 업무에는 중국 비즈니스, 국제 비즈니스, 현지 생활 서비스, 클라우드, 디지털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혁신 업무 및 기타 등이 포함된다.
  알리바바는 소비자 체험과 업무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AI 기술을 생태계에 활용하고 있다. 2023년 알리바바는 영업소득 8,686.87억 위안을 실현했다.
006.jpg
3. 화웨이 (华为)
   1987년 설립된 화웨이는 세계 최고의 ict 인프라와 스마트 단말기 제공 업체이다. 2022년, 천행백업의 디지털화 전환과 지능화 업그레이드를 위해 화웨이는 통용 컴퓨팅을 지향하는 컴퓨팅산업과 인공지능을 지향하는 AI 컴퓨팅산업을 구축했다. 
   5200개 이상의 파트너와 310만 명의 개발자, 그리고 14,000개 이상의 솔루션 인증이 이루어졌다. 2022년 화웨이는 영업 소득 6,423.38억 위안을 실현했다.
007.jpg
4. 바이트댄스 (字节跳动)
   바이트댄스는 2012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회사의 제품과 서비스는 전세계 150개 국가와 지역, 75개 언어를 커버하고 있다. 일찍이 40여개 국가와 지역에서 앱스토어 전체 순위 상위권을 차지한 바 있다.
   바이트댄스 인공지능 랩은 인공지능 관련 분야의 장기적이고 개방적인 문제를 탐색하고 회사의 미래 비전 실현을 돕기 위해 2016년에 설립되었다. 2022년, 바이트맥스의 영업소득은 5502억 위안에 달했다.
008.jpg
5. 텐센트 (腾讯)
   1998년에 설립된 텐센트는 세계 최고의 인터넷 기술 회사로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세계 각지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다.
   2022년, 텐센트는 인공지능 능력과 클라우드 인프라 건설에 대대적으로 투입하여 기초 모델의 발전 추세를 포용하고 있다.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 혁신 측면에서 하이브리드 AI 대용량 모델은 NLP (자연어처리), CV (컴퓨터 시각화), 다중 모달 등 기초 모델과 많은 산업 모델을 포괄한다.
   2023년 상반기에 텐센트는 2,991.94억 위안의 영업수입을 실현했다.

IV. 중국 AI 산업의 전망



AI와 중국, 중국과 AI

AI는 중국에 정말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그리고 이 변화가 현재 진행형이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실제로 중국 현지에서 광고 전화를 받았을 때, 중국의 인공지능과 끊임없이 대화를 한 경험도 있었다. 
이외에도 현재 중국이 AI를 활용하여 어떻게 발전해 나가고 있는지 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AI 앵커가 뉴스 진행, 진짜 앵커는 휴가 (2024.02.13)
'AI폰' 들고 나타난 중국, 삼성 애플에 도전장 (2024.02.26)



정책으로 업계의 발전 촉진


   수요 측면에서 인공지능은 쉽게 접근 및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간주되어 디지털 시대의 운영 효율과 성공을 실현할 수 있다. 공급자 측면에서 중국의 인공지능 제공자들은 경제 규모와 사회 활동 수준에 의해 생성된 방대한 양의 증가하는 데이터, 강력한 인재 풀, 선도적인 연구 능력 및 AI 분야의 적극적인 참여자들의 혜택을 받는다. 
   동시에 중국 정부의 인공지능 기술, 인공지능 인재 교육 및 인공지능 응용 솔루션 지원 정책 및 법규는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신속한 발전을 한층 더 촉진할 것이다.
데이터 양의 증가로 발전 가속화


   2021년 전 세계 83zb의 생성, 획득, 복제 비용이 지난 10년 동안 30배 증가했으며, 2026년에는 208zb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데이터 분석은 인간이 처리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면서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데이터의 축적은 인공 지능의 응용을 촉진한다. 
   또한, 인공지능은 풍부한 데이터로부터 학습, 훈련, 발전하여 더욱 지능적으로 되며, 현실 세계의 문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당연한 말이지만, 2024년 중국의 AI 산업은 여전히 성장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은 인공 지능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업의 투자, 그리고 기술적 전문성에 기인한다. 
또한, 중국은 대규모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계 학습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데 중요한 자원이다. 
AI 분야의 1위인 미국과의 기술 경쟁에서 중국은 지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중국 정부와 기업들은 AI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AI 산업은 여전히 데이터의 개인 정보 보호 문제, 기술적인 도전, 
그리고 국제적인 기술 협력과의 문제와 같은 도전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중국의 AI 산업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며 성장하고 발전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참고 자료

[학술지 논문]
박소영(2019), 「중국 AI 시장의 주요 트렌드」, 『성균차이나브리프』, 7(2), pp.98-103.
박영진(2020), 「중국 AI 교육의 도입과 시사점」, 『상담심리교육복지』, 7(4), pp.51-65.
오종혁(2018), 「중국 인공지능(AI) 산업 현황 및 발전 전망」,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20(1), pp.1-10. 

[웹사이트]
「2024年中国人工智能行业市场前景预测研究报告」, 中商产业研究院 中商产业, 2023-11-02, https://www.szw.org.cn/20231102/64041.html (2024-03-19 접속).
「인공지능(AI)」,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2020-01-24, https://www.korea.kr/news/cultureColumnView.do?newsId=148868542 (2024-03-20 접속).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연락처
woorively@hufs.ac.kr